5/시간 죽이기에 > 자유게시판

본문 바로가기

자유게시판

5/시간 죽이기에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보이는사랑 댓글 4건 조회 222회 작성일 25-02-19 23:14

본문

독서만 한 것이 없긴 하다.

언제부턴가 유튜브만 보고 독서는 멀리 했는데

그래도 좋은 책이든 안 좋은 책이든 읽다보면 가슴에 울림을 주는 것은 책이 유일하더라.


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 안에 가시가 돋힌다는 안창호 선생님의 말씀이 백 번 옳도다.ㅋㅋ

그런데 난 이 말이 안창호 선생님이 지은 명언이가 했었는데

잡식성으로 이책저책 읽다보니 안창호 선생님이 창조한 말이 아니고 중국이 어원이더란말시.


책을 읽다보면 그 근본 뿌리가 중국에서 나온 것들이 아주 많아서 깜짝 놀라겠더라.

어쨌거나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라고...이리저리 두루 읽다보면 상통하는 것이니라.


쌓아 놓은 책 중에 이번에 무슨 책을 읽고 버릴까 하면서 보니까

월든이 보이더라.

잔잔하니 커피 한 잔 마시며 읽기엔 좋을 것 같아 이 책으로 일단 찜 해본다.

언젠가 놀러가서 바자회 하는 곳에서 200원이지2000원지에 주고 산 책인데

트렁크에 쑤셔박아 놓았다가 작년에 내 차 폐차하면서 꺼내서 집에 갖다 놓은 책이다.


난 차에 아무렇게나 책들을 몇 권 던져 둔다. 그러다가 틈이 생길 때 시간 죽이기로 읽곤 했는데

이젠 책 보다는 유튜브 보는 시간이 더 많아졌다.


소로우의 월든을 읽고서 법정 스님이 무소유를 실천 했다는데 잔잔히 자연의 소리들에 귀기울이며 

카페에 갈 때 들고 다녀보자.


하남 살 때 혼자서 길상사 한 바퀴 돌아보고 법정 스님도 기리며

또한 자야라는 기생과 백석의 사랑도 생각 해 보며 길상사 전에 대원각이라는 곳도 상상 해봤던 기억이 가물하네.


고양 살 때는 혼자 은평 한옥마을 카페 갔다가 진관사 들러보고 오기고 했고

혼자 진관사 앞길로 해서 등산길 타고 반대편으로 내려가기도 했던....그땐 또 법정의 책을 가방에 넣고서 정상에 앉아 한 권 읽고 하산하면 마음에 울림이 가득하기도 했더랬지.


뭐 그땐 또 그렇게 살아내고

지금은 또 이렇게 살아가는 거고 삶이란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달라지묘.


 

추천7

댓글목록

best 북두칠성 작성일

'~ 입안에 가시가 돋친다'는 말은 조선왕조 아동교육서인 추구(推句)에 나오는 말로  안창호가 아니고 안중근 의사님이 인용하셨지요 ㅎㅎ
나도 책을 사놓고 잘 안 읽게 되고 유튜브나 영화, TV를 많이 봐요. 동영상은 영상과 음성을 통해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뇌가 정보를 쉽게 받아들이는 반면에 책은 독자가 직접 해석을 해야 해서 에너지를 더 많이 써서 그런 것 같아유~
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 나라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중국의 문물을 많이 받아들여서 우리 것으로 만들어온 사실은 부정할 수 없지요. 우리 나라 말 중에 한자어에서 온 단어가
문어체에서는 70% 이상, 구어체에서는 50% 이하라고 해요.

좋아요 1
북두칠성 작성일

'~ 입안에 가시가 돋친다'는 말은 조선왕조 아동교육서인 추구(推句)에 나오는 말로  안창호가 아니고 안중근 의사님이 인용하셨지요 ㅎㅎ
나도 책을 사놓고 잘 안 읽게 되고 유튜브나 영화, TV를 많이 봐요. 동영상은 영상과 음성을 통해 즉각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뇌가 정보를 쉽게 받아들이는 반면에 책은 독자가 직접 해석을 해야 해서 에너지를 더 많이 써서 그런 것 같아유~
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 나라는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중국의 문물을 많이 받아들여서 우리 것으로 만들어온 사실은 부정할 수 없지요. 우리 나라 말 중에 한자어에서 온 단어가
문어체에서는 70% 이상, 구어체에서는 50% 이하라고 해요.

좋아요 1
보이는사랑 작성일

교육에 힘쓴 안창호가 한 말인 줄 알고 있었네요.
에이닷에 물어보니 나쓰메 소세끼가 처음 한 말이라고 나오던데 전에 읽던 책에선 중국이고....인공지능도 거짓말을 많이 해서 믿을 수가 없네여.

좋아요 0
보이는사랑 작성일

고양 살 때 행신동에 혼자 살던 할머니가 있었는데 그분이 법정스님 밥해주던 할머니여서 법정스님에 대한 얘기들을 들었던 것 같다.

좋아요 0
보이는사랑 작성일

한옥마을 건너편에 하나고라고 있는데 친구 아들이 다녔었는데 서울대 가고야 말았더라만.
하나고 뒤로 산길따라 쭉 내려가면 불광역이 나온다.
차를 가지고 갈 땐 곧바로 은평 한옥마을까지 갔고  가끔은 불광역에서 내려 하나고까지 걸어갔는데 그 길이 참 좋다.

서오릉 앞쪽으로도 산이 있는데 거기도 등산하기가 좋은데 지금은 고인이 된 탈렌트 변희봉님이  자두 다니던 산이었다.
서오릉이니서삼릉이니 가을에 낙엽 밟으며 걷기가 참 좋았다.

좋아요 0
Total 15,068건 1 페이지
자유게시판 목록
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추천 날짜
공지 익명 14136 11 02-12
15067 보이는사랑 68 0 18:44
15066 보이는사랑 81 3 16:41
15065 보이는사랑 81 2 16:29
15064 보이는사랑 152 3 16:09
15063 바람이분다 127 5 16:01
15062
꽃대말 댓글3
돌아온냥이 162 12 12:58
15061
그래 내 댓글4
나빵썸녀패닝 153 12 12:19
15060
아파트 + 댓글4
꽃으로도때리지말라 201 1 11:30
15059
트라우마 댓글6
나빵썸녀패닝 185 12 10:45
15058
눈썹을 댓글2
나빵썸녀패닝 188 12 02-20
열람중 보이는사랑 224 7 02-19
15056 보이는사랑 178 7 02-19
15055 보이는사랑 177 8 02-19
15054
2/오후엔~~ 댓글1
보이는사랑 111 7 02-19
게시물 검색

회원로그인

현재 접속자 수 : 322명

Copyright © 미즈위드 All rights reserved.